한미 기준금리 역전 최대치 1.75% 가 미치는 영향 (ft. 5월 금통위 금리전망)

반응형

한미 기준금리 역전 최대치 1.75% 가 미치는 영향  (ft. 5월 금통위 금리전망)


한미 역대 최대 금리차
1.75%

 

 

미국 연준준비제도 (Fed) 가 5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상단 5.00% 에서 5.25% 로 높아졌는데요. 이는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된 금리인상으로 2007년 8월 이후 약 16년 만에 최고치라고 합니다.

 

이로써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역대 최대인 1.75% 로 벌어지면서 5월 열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과연 금리를 올릴 것인가에 대하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한미 금리차가 미치는 영향

 

 

 

금리 역전 현상은 큰 폭의 국제 자본 이동을 부추기며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1. 외국인 투자자 이탈

 

금리의 인상은 곧 이자를 더 준다는 의미로, 돈은 자연스럽게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면 외국인 자금이 한국 금융 시장으로부터 대거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같은 환급성이 좋은 곳이지만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는데 이자까지 낮다면 굳이 투자금이 한국으로 들어오거나 머무를 일이 줄어들게 됩니다.

 

2. 환율 상승과 경상수지 악화

 

한국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간다면 원화를 달러로 바꿔 나가기 때문에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환율의 급격한 상승은 수출경제중심의 한국 경제에게는 악재로 작용하며 수출 둔화 및 경기침체가 찾아올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에 맞쳐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5월 금통위 금리
동결 전망

 

 

 

한국의 기준금리는 3번 연속 동결로 3.50% 입니다. 

 

지금까지 한미간 금리 역전 폭이 1.5% 포인트를 넘었던 적이 없기에 이번 5월 25일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금리인상에 대한 결정이 있겠지만 현재로써는 동결쪽에 더 무게가 쏠립니다.

 

그 이유인 즉슨

 

1. 소비자 물가 상승률 둔화 입니다. 4월에는 14개월만에 3%대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다소 상승률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 경기침체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입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반도체등의 수출은 하락하였고 해외 여행 증가로 인한 서비스 수지도 악화되며 11년만에 2달 연속 적자입니다.

 

3. 가계부채 역시 뇌관입니다. 오랜 저금리 기조 속에서 경제 주체들이 빚을 너무 늘려 현재 금리 상승에 더 취약한 구조입니다. 

 

한은 총재의 고민은 많아지겠지만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지 않는 한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