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4 :: 기대인플레이션
- 주식이야기
- 2022. 5. 24.
2022/05/24 :: 기대인플레이션
1. 코스피
- 2605.87 (-1.57%)
- 개인 +5826억, 외국인 -3246억, 기관 -2815억
2. 코스닥
- 865.07 (-2.10%)
- 개인 +1901억, 외국인 -340억, 기관 -1311억
금일 ISSUE
5월 물가 상승 전망 3.3%...9년 7개월 만에 최고
5월 물가 상승 전망 3.3%…9년 7개월 만에 최고
향후 1년간의 물가 상승 전망을 의미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2012년 10월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news.kbs.co.kr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이 9년 7개월만에 최고치인 3.3%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금일 한국은행 5월 소비자동향조사 발표가 있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미래를 반영하는 수치인데 문제는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현실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당장 연준에서 돈줄을 조여 지금의 인플레이션을 막을 수는 있어도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언제든 다시 튀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지 않는 환경 또는 디플레이션 상태에서는 성장이 주춤하면 연준이 다시 바로 돈을 풀면서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는데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언제든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으니 연준이 돈 풀기가 어려워 진다는 점이다.
물가 상승 -> 금리 인상 -> 성장 둔화 -> 금리 인하 -> 경기 부양 -> 물가 상승
과거에는 성장이 둔화되면 물가가 거의 하락하면서 연준이 경기 부양을 위해 유동성 공급을 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성장이 둔화됨에도 불구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지금의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의도대로 떨어지지 않고 지탱하게 되는데, 그럼 연준의 개입폭이 대폭 줄어 들게된다. 따라서 지금의 인플레이션이 떨어지지 않고, 성장 둔화 속도는 빠른데 물가 하락 속도가 늦어 지면서 발생하는 것이 스태그플레이션이다.
지금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이지는 상태로 연준이 연착륙을 위해 핸들링하기 상당히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저점이라고 판단하고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투매가 나오는 시점을 기다리는 구간이라고 본다.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26 :: 2050년 생산연령인구 급감 (0) | 2022.05.26 |
---|---|
2022/05/25 :: 한미 기준금리 전망 (0) | 2022.05.25 |
2022/05/23_무역적자 지속, 코스피 반등 한계 (0) | 2022.05.23 |
전장카메라 수요 증가, 카메라 관련주 엠씨넥스 분석 (3) | 2022.05.23 |
2022/05/19_원자재관련주 순환매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