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21_미 테크주 실적 발표
- 주식이야기
- 2022. 4. 21.
1. 코스피
- 2728.21 (+0.35%)
- 개인 -5665억, 외국인 -596억, 기관 +6366억
2. 코스닥
- 929.68 (+0.08%)
- 개인 +113억, 외국인 -306억, 기관 +341억
금일 ISSUE
서학개미 ' 미장 사랑' 여전한데-- 넷플릭스 35% 폭락 '충격'
서학개미 ‘美장 사랑’ 여전한데… 넷플릭스 35% 폭락 ‘충격’
올해 1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는 등 서학개미들의 ‘해외주식 사랑’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인 넷플릭스 주가가 폭락하
n.news.naver.com
미국에서는 금주부터 테크 기술주들의 실적 발표가 있는 모양이다. 금리 인상에 QT 때문에 가뜩이나 몸사리고 있는데 실적마저 안나온다면 그나마 버티고 있던 지수들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겠지.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성장이 탄탄하고 실적이 받쳐준다면 다시 상승할 수도 있겠지만, 실적마저 저조하다면 폭락을 예상할 수 있으니 다들 테슬라, 애플, 알파벳, 마이크로 소프트 등 빅테크를 주의 깊게 보고 있는데 넷플릭스가 저조한 성적을 보이면서 35% 폭락했고, 올해 고점 대비로는 68%로나 하락해서 코로나 이전의 가격으로 돌아갔다.
이런 성장주의 특징은 미래의 가치를 당겨와서 지금 반영하는 것인데, 넷플릭스와 같이 가입자 수가 들어드는 등의 성장이 멈추거나 역행하면 급격한 하락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미국 뿐만 아니라 한국 주식 종목들도 마찬가지로 지금의 실적이 아닌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여 이미 상당히 오른 주식은 조심해야 하며 특히 곡물, 사료등의 급등은 다시 무너지게 되어 있으니, 시세가 나오지 않은 섹터, 종목들을 찾아서 투자해야 수익률도 크고 리스크도 분산 할 수 있다.
반도체 섹터를 보면 20년 이전을 생각해 보면 반도체 가격 하락, 중국의 반도체 굴기등 위와 같은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위기라고 했을 때, 반대로 빨간 박스 기간에 투자한 사람의 수익률은 수백% 상승을 맞이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섹터, 미래는 창창하지만 아직 미래의 가치를 끌어오지 못하고 개인의 관심이 덜한 섹터와 종목들을 찾아 투자해야 최소한 시장의 평균을 상회하는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지.. 남들 쫓아 다니면서 급등하는 종목 고점에 들어가서 물리면 시장에서 퇴출 당하는 수 밖에....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마지막주 - 인플레이션주 순환장세 (5) | 2022.05.01 |
---|---|
2022/04/22_네이버, 카카오 (3) | 2022.04.22 |
2022/04/20_미국 금리 인상 빅스텝 (1) | 2022.04.20 |
2022/04/19_관심 받을 때는 팔아야 하는 자리 (3) | 2022.04.19 |
2022/04/18_곡물, 원자재 관련 (2)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