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현황 1. 코스피 - 2746.74 (+0.21%) - 개인 -1379억, 외국인 -111억, 기관 +1607억 2. 코스닥 - 939.07 (+0.13%) - 개인 +269억, 외국인 +223억, 기관 -295억 국내 증시는 별다른 일은 없었다. 미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으로 인하여 경기침체징후라는 기사와 아직 아니라는 기사들이 연달아 터지는데 어찌되었든 돈이 줄어들면서 단기 금리는 상승하고 그로 인한 경기침체를 예상하면서 장기 금리는 하락하니 일시적으로나마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겠지.. 뭐 좋은 뉴스는 아니고 주의 깊게 추이를 시켜봐야 할 듯 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81&aid=000326..
1) 코스피 - 2741.07 (+0.42%) - 개인 -86억, 외국인 -2801억, 기관 +3268억 2) 코스닥 - 937.83 (+1.16%) - 개인 -2026억, 외국인 +1510억, 기관 +844억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5&aid=0001515325 [속보] 러, 평화협상 후 “회담 건설적…우리가 양보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협상 대표단의 5차 평화협상이 약 4시간 만에 종료됐다. 터키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29일(현지시간) 오후 “협상이 4시간 동안 진행됐고 가끔 휴식도 했다”며 협상 종 news.naver.com - 러시아-우크라이나 5차협상에서 나름 진전이 있어 보임. 해당 결과..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032507458072228&code=w1505 러 "비트코인 결제 추진 가능"… 주요 암호화폐 일제히 상승 - 머니S 서방의 제재로 달러거래가 막힌 러시아가 달러 대신 비트코인 결제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상화폐)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25일 오전 7시36분 moneys.mt.co.kr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economy/2022/03/25/ENHSPDHJFBEQZC3XMI4YQMFUDQ/ “러시아, 석유·가스 수출 대금으로 비트코인 받을 것” 러시아, 석유·가스 수출 대금으로 비트코인 받을 것 biz...
1. 코스피 - 2,729.56 (-0.02%) - 개인 +1,935억, 외국인 -2,733억, 기관 +767억 2. 코스닥 - 9,27.11 (-0.81%) - 개인 +2,762억, 외국인 -884억, 기관 -1,562억 - 코스피는 90년 후반 IMF, 2000년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최근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나 차트를 길게 늘려 보면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음. - 코로나 팬데믹으로 1400대까지 밀렸으나 금리 인하 및 달러 무제한 공급으로 인한 유동성장으로 미국 주식 뿐만 아니라 코스피도 3000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움 - 글로벌리 풀렸던 돈들이 이제는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부동산 시장의 폭등의 주범이며 원자재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어 미 연준에서는 공격적 긴축을 시행하고 ..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석탄/가스/비료등의 규제로 인하여 암모니아, 요소등이 부족해짐 - 비료의 중간재인 암모니아, 요소가 부족함에 따라 비료 생산 차질 - 비료 생산 차질에 따른 수급 차질로 비료값 상승 -> 곡물값 상승 -> 사료, 축산 가격 상승등의 연쇄 상승 - 수요 부족으로 인한 생산 감소가 아닌 공급발 부족으로 인하여 당분간 가격 상승 가능성 있음 - 다만 최근 주가 상승은 사실상 너무 급등하는 감이 있기 때문에 따라잡기 보다는 보유 주식을 파는 시점임. - 비철금속 또한 계속 급등하고 있음 - 러시아가 생산을 많이 하고 있는 니켈이나 알루미늄 가격이 급등 - 유럽 또한 러시아에서의 에너지 수입 차질로 인하여 전기로 운영 가격 상승함에 따라 비철 금속 가격 상승 - 전력난에 따른..
작년 미국 금리인상 및 테이퍼링으로 이슈로 인하여 사료/곡물/원자재 관련주가 상승할 것으로 판단하고 작년 말부터 조금씩 매수했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급등한 모습이다. https://pinkhyun.tistory.com/585?category=1033683 이제 곡물, 에너지 관련주가 움직이니까 투자금들이 이쪽 섹터로 몰리는 모습이고 나는 언제나 그랬듯이 남들이 살때는 팔때라고 생각하고 일부 정리하였다. (한일사료 / 효성오앤비 / 현대사료) 현대사료의 경우 5연속 상을 쳤는데 유통물량이 많이 없고 급등한 모습으로 더이상 벨류체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리하고 소량만 남겨 놓았다. 신풍제약, 수젠같은 코로나 진단키트관련주와 비슷하게 테마로 확 오르다가 이슈가 떨어지면 다시 떨어질 것이고 그나..
- 2900이 무너지고 대형주들도 역배열로 돌아섬 - 코스피는 아직 저평가이고 적정 주가 3000선이기 때문에 저평가 확대 관점으로 볼 것 - 대략 10년 주기로 폭락하고 상승장을 맞이함 - 개인 신용을 털고 가격 메리트가 있을 경우 버블이 확대되면서 우상향 함. - 코로나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양적긴축 및 금리인상등으로 우호적인 시장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큰 악재가 있어 보이지도 않음 - 세계적인 국부 펀드들이 ESG 투자를 계속 늘리고 있음 - 반대로 석유,가스 관련 투자는 계속 줄어 들고 있음 - 앞으로 refinary 관련 수주는 줄것으로 보이나 CCUS 등의 환경 관련 사업은 지속 투자 예정으로 보임 - NCC 등 petrochemical 사업은 지속 성장 가능성 있음. -> 업종 고민 해 볼 것 ..
1. 금리인상에는 기술주보다 가치주?? - 금리인상 / 양적긴축일때는 성장주보다는 가치주에 비중 둘 것 - 성장주는 금리인하 시기에 투자도 많이 하고 돈도 많이 주식으로 몰리면서 상승 주도 - 금리인상시에는 2018년때와 마찬가지로 성장주의 하락이 올수 있음 - 가치주는 성장주가 오를때 소외되면서 크게 오르지 않았고 금리인상 수혜를 보는 종목도 있으므로 비중 조절 할 것 - 가치주란 보험 / 철강 / 건설 / 화학 / 음식료 등등 임 / 30~40% 비중 줄 것 2. 장단기 금리차 - 장단기채권금리차가 축소된다??? -> 통화긴축등으로 단기 금리가 급등하거나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채권 수요가 높아 장기 금리가 하락하는 시기 -> 곧 경기 침체를 의미 함 - 장단기금리차 확대 -> 통화안정/확대로 ..
- 20일선과 점점 괴리가 벌어지고 있음. - 작년 10월경에도 20일선과 점점 벌어지면서 하락으로 밀리다가 반등으로 60일선까지 오름 - 분식회계 이슈가 있으나 해결된다면 다시 20선과의 괴리가 좁혀지고 60일선까지 치고 오를 수 있음 - 음봉 2방으로 신용이 털리는 포지션이 나옴. - 60일선인 20만원 (수익률 15~20%) 이내에서 스윙 포지션으로 잡을 것. - 셀트리온과 비교해보면 20일선과 계속 괴리가 벌어지고 있음 - 음봉이 크게 나와 개인신용이 털리는 포지션이 나와야 더욱 좋음 - 더 떨어질지 오를지 모르지만 장대음봉이 나와 20일선과 더욱 괴리가 벌어지면 추가 매수 할 것 - 60일선인 12만원대에서 스윙 포지션 잡을 것.
- 현대에서 곧 자율주행 level 3 의 제네시스를 출시한다고 함. - 카메라 및 센서는 level 이 올라갈수록 아래 도표와 같이 계속 수요가 증가함. - 2025년에 level 4 자율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소프트웨어쪽은 ADAS 위주의 모니터링 관심 - 하드웨어는 전장인 카메라 / 센서 위주 관심 가질 것 => 이미 카메라 / 센서 관련 주들의 실적이 찍히고 있고 더욱 확대 예상됨. => 저평가된 종목 위주로 선정 하여 매수 할 것.
카카오는 최고 173,000원 대비 약 -40% 하락한 100,000 원까지 떨어짐 2020년 상반기부터 네이버와 함께 4차산업의 대표주자로써 시총 3위(?) 정도까지 올라갔으나 미국 테이퍼링 조기 종료 및 금리 인상 여파로 기술주들이 하락세로 돌아섬.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다양한 사업 및 모바일 플랫폼 업체로 매출 추이를 봐도 매년 20% 이상 상승하고 영업이익도 그에 맞게 상승 중임.. 다만 PER 297 로 상당히 고평가 되어 있지만 미국 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대부분의 이런 플랫폼 테크 기업의 PER 은 미래 가능성을 보고 있기에 상당히 높음. 카카오는 개인도 많이 샀지만 외국인 보유률이 30%가 넘고 기관도 많이 매수한 종목으로 떨어졌다고 겁먹지 말고 스윙차원으로 접근 할..
"PCB의 가공에 사용되는 초정밀 공구인 마이크로비트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용 샤프트 생산/판매사업 등을 영위. 자동차용 샤프트 제조업체 네오디에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 중인 유니포인트 등을 계열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권은영 외(47.67%)" 네오티스는 PCB / 전기차 관련주로 최근 분기 실적이 100 -> 203억으로 두배 가까이 상승했다. 기사를 찾아보니 광학렌즈가공 장비업체인 광학정밀을 인수하였다고 한다.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한 듯 하며 6000원대의 벽을 뚫기 위해서 계속 노크하는 모습이다. 전환사채가 문제이긴 하지만 매출액이 2배로 증가하고 영업이익도 같이 상승하면 시총 760억은 저평가가 되고 상승 가능성이 있으니 5000원 이하에서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