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03_소비자물가 4.8% 상승
- 주식이야기
- 2022. 5. 4.
2022/05/03_소비자물가 4.8% 상승
1. 코스피
- 2680.46 (-0.26%)
- 개인 +1049억, 외국인 +1188억, 기관 -2148억
2. 코스닥
- 907.57 (+0.64%)
- 개인 -1190억, 외국인 -39억, 기관 +1290억
금일 ISSUE
비트코인 4중고 ‘공포’…빅스텝 예고·나스닥 폭락·해킹·비관론까지
비트코인 4중고 ‘공포’…빅스텝 예고·나스닥 폭락·해킹·비관론까지
이제는 비트코인 ‘3만8000달러’가 굳어진 분위기다. 향후 예고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소식이 지속적으로 하방 압력을 가하는 가운데 나스닥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고,
n.news.naver.com
비트코인은 아직 방향성을 정하지 못하고 5000만원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계속 출렁이는 모습이다. 유동성 축소로 인하여 하방 압력을 받고 있고 나스닥과 커플링되어 흘러내리는 모습인데...
경제에 좋은 건 아니지만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가면서 나스닥과 디커플링되어 매물대를 뚫고 가는 모습을 기대한건데 오히려 디지털 금의 위치가 아닌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면서 지지선이 무너지는 모습이라 3천이하까지도 떨어질 수 있는 포지션이다.
워렌버핏이 최근 주주총회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다시 한번 피력했고 시장 상황도 그리 좋지 않으니, 5천만원을 기준으로 손절라인 잡고 대응했으면 나스닥과 디커플링이 될지, 커플링 되면서 계속 하락할지 방향성이 잡힐 때까지 좀 더 지켜보면서 포지션을 잡으면 된다.
한은 "물가, 당분간 4%대" 이달 기준금리 올리나
한은 "물가, 당분간 4%대"…이달 기준금리 올리나(상보)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당분간 4%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1%를 기록한 터라 기대 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n.news.naver.com
소비자물가가 4월기준 4.8% 상승했다. 미국은 3월기준 8.5% 상승했으니 확실히 인플레이션 때문이라도 금리인상은 확정적으로 보이는데.. 연전은 5월에 이어 6,7월까지 세차례에 걸쳐 빅스텝으로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예상이 시장에서 힘을 받고 있는 모습이니 한국은행도 6월에는 금통위가 없으니 5월에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지..
따라서 지수는 제한적인 흐름이고 테마주들 위주로 투기자금이 쏠리고 있고 소비자 물가 및 금리인상도 거의 확정적이니 지수는 위아래로 상승 하락폭이 커지고 방향성이 급하게 잡히면서 변동성을 확대하는 구간이니 주의해야 한다.
주의) 본 글은 개인 일기와 같이 정리한 것으로 소액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순전히 개인적 의견이기 때문에 어떠한 투자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으므로, 투자의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06_수소법 개정안 통과, 수소 관련주 (2) | 2022.05.06 |
---|---|
2022/05/04_투자 마인드, 국내 주식 보수적 접근 (2) | 2022.05.04 |
2022/05/02_성장주와 가치주 비중 조절 / CNN 공포지수 (1) | 2022.05.02 |
4월 마지막주 - 인플레이션주 순환장세 (5) | 2022.05.01 |
2022/04/22_네이버, 카카오 (3) | 2022.04.22 |